충청북도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로고
올메뉴 취소 아이콘

건강소식

2023년 보건 복지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관리자 2023-01-05 16:37 조회수 아이콘 532

2023년 보건‧복지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 목 차 -

 1. 기초생활보장 급여 확대 및 재산기준 완화    
 2. 긴급복지지원 생계지원금 단가 인상 지원
 3. 장애수당 단가 인상

 장애로 인한 추가적 비용을 보전하는 장애수당 인상을 통해 성인 경증 장애인 생활 안정 지원합니다.

  2015년 이후 유지되었던 장애수당 단가(재가 월4만원, 시설 월2만원) 2023년에 50% 인상(재가 월6만원, 시설 3만원) 됩니다.

  장애수당 단가 인상을 통해 23년 총 41만명의 만 18세 이상 경증 장애인의 소득보장이 확대됩니다.

  아울러,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주소지와 관계없이 모든 읍··에서 장애(아동)수당 신청이 가능(22.9.6.~)하므로신청자분들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었습니다.


4. 노인성 질환 65세 미만 장애인의 활동지원 신청 허용

□ 장애인활동지원 제도는 장애인의 일상에 가장 밀착하여 생활을 지원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기반이 되는 서비스로, 2023 1 1일부터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이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 급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개정 전 장애인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5조는 노인장기요양 보험법에 따른 노인 등*을 활동지원급여 신청자격에서 배제하였으나 해당 조항을 개정하였습니다.

 * 65세 이상의 노인 및 65세 미만의 자로서 치매‧뇌혈관성질환 등 노인성 질환자

 ○ 이에 따라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으로 장기요양급여 이용하는 장애인도 활동지원급여 신청할 수 있고,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에 따라 장기요양급여에 더해 활동지원 급여를 추가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노인성질환으로 장기요양을 이용하고 있는 약 2,700여명의 장애인분들이 추가로 활동지원급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내년에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를 포함하여 대상자를 1만명 이상(1314만명) 확대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활동지원을 보다 촘촘하게 제공하겠습니다.


5.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지원 강화 
6. 부모급여 도입
7. 재난적 의료비 지원 문턱 낮추고 모든 질환 확대
8. 자살 고위험군 지원 확대 및 인프라 강화
9. 정신의료기관 환경개선 사업 추진
10. 지역 의료-돌봄 연계체계 강화 시범사업 실시
11. 사회서비스 혁신 기반 조성


12. 발달장애인과 장애아동 돌봄서비스 확대

□ 발달장애인을 위한 긴급돌봄 시범사업을 새롭게 추진하고주간활동서비스발달재활서비스 및 중증장애아동 돌봄서비스 확대 통해 장애인 돌봄이 한층 두터워집니다.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입원경조사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일시적(1주일)으로 24시간 돌봄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23.4~)

 ○ 또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낮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주간활동서비스 제공시간이 월 29시간 확대(125시간154시간)되고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차감도 축소폐지됩니다.

 ○ 청소년 발달장애인의 방과 후 시간 지원을 위해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 시간이 월 22시간 확대(월 44시간66시간)됩니다.

 ○ 발달장애인 부모 및 가족의 심리적 부담을 완화하고 양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부모상담·부모교육·가족휴식 대상자를 확대합니다(2.5만명 → 3만명)

  한편장애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해 발달재활서비스의 지원 대상을 1만명 확대하고(6.9만명7.9만명) 月 바우처 지원액이 3만원 인상(22만원25만원)됩니다.

  또한중증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돌봄부담 경감을 위해 연간돌봄지원시간을 120시간 확대(840시간960시간)합니다.


13.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및 종사자 확대
14. 사회서비스형·민간형 노인일자리 확대 실시
15.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보관·발급시스템 도입
16. 암생존자 중심의 맞춤형 헬스케어 연구개발사업 실시
17. 민관협력 자살예방 사업 확대
18. 감염병 팬데믹 대응을 위한 비대면 진료기술 개발
19. 신·변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사업 추진
20. 세포 기반 인공혈액 제조 및 실증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R&D) 지원
21.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R&D) 지원

*출처: 보건복지부

장애인 관련 정책만 내용을 덧붙여 놓았습니다. 관심 있는 정책들은 첨부 파일에서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